Protocol Layer 우선 프로토콜이란 송신자와 수신자, 그리고 중간장치들이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규칙을 말한다. 통신이 간단하다면 하나의 프로토콜만 있으면 되지만, 통신이 복잡하다면 각 층마다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이를 프로토콜 계층화(Protocol Layer)라고 한다. 프로토콜 계층화를 사용하면 복잡한 작업을 여러 개의 더 작고 간단한 작업으로 나누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암호화/복호화 과정이 들어간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계층화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암호화/복호화 방식이 맘에 들지 않아 교체해야 하는 경우 전체를 교체해야한다. 하지만 암호화/복호화만을 담당하는 계층을 만들어 해당 역할을 수행하도록 맡긴다면 훨씬 간단해질 것이다. 나머지 계층들은 전..
Operation System의 발전 이전에는 Operation System이 없었기 때문에 직접 수동으로 하드웨어 장치를 제어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너무 효율이 떨어졌기에 모니터라는 것을 만들게 되었다. 모니터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따라서 프로그램들이 묶여있으며 그 순서대로 실행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이렇게 여러 개의 프로그램들을 묶어놓고 있다가 차례로 하나씩 실행시켜 놓는 방식을 일괄 처리 즉, Batch System이라고 한다. 모니터는 이러한 Simple Batch System 안에서 일련의 과정들이 차례로 수행되었다. Uni-programming 위 그림은 Uniprogramming의 CPU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_Run_이라는 상자가 있는 동안에는 ..
Spread Spectrum 데이터는 누군가에 의해 조작되거나, 탈취되면 안된다. 만일 군사 작전 시 송/수신 되어야 하는 중요한 데이터가 탈취당한다면 작전 상에서도 굉장히 위험할 것이다. 그래서일까, 이렇게 무선 통신을 하는데 있어 보안성과 간섭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 군사 목적으로 최초에 등장하였다. Spread Spectrum이란 의도적으로 신호를 넓은 주파수 대역으로 퍼뜨려 보안성과 간섭 저항성을 높이는 기술이다. Spread Spectrum의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FHSS와 DSSS가 있다. 이제부터 두 방법 간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 지 알아보자.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FHSS) FHSS는 각 데이터를 서로 다른 주파수에..
* 해당 글은 김영한 강사님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을 보고 간단하게 정리한 글입니다.(자세한 내용은 강의가 최곱니다. 강의 사세요)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 - 인프런 저는 야생형이 아니라 학자형인가봐요^^ 활용편 넘어갔다 30% 정도 듣고 도저히 답답해서 기본편을 들어버렸네요^^. 한주 한주 김영한님 강의 들으니 렙업되는 모습을 스스로 느낍니다. 특히 실 www.inflearn.com 다대일 관계 다대일 단방향 연관관계의 주인은 다 쪽에 있다. "다"쪽에서 "일"쪽으로만 참조가 가능하다. @ManyToOne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Team team; 위와 같이 _@JoinColumn_을 통해 관계를 설정할 ..
Instruction Cyle은 크게 4가지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1. Memory로부터 Instruction을 fetch 2. Instruction을 Decode 3. Memory로부터 effective address 읽기 4. Instruction의 실행 특히나 3번의 과정은 Instruction의 종류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Instruction의 구조 앞선 cycle의 흐름을 단번에 파악하긴 어렵다. Instruction Cycles를 이해하기 위해선, Instruction에 어떤 종류가 있는지 부터 파악해야한다. 기본적으로 16비트 컴퓨터에서 Instruction format에는 총 3가지가 있다. 1. Memory - reference Instruction 2. Register - refe..